본문 바로가기

스프링4

[프로젝트 환경설정 - (2)] 라이브러리 살펴보기 기본적으로 특정 라이브러리를 설정하거나 다운로드하면, 그와 관련된(의존관계에 있는) 라이브러리를 gradle 에서 함께 다운로드한다라는 점을 기억하자. External Libraries 에서 의존관계에 있는 라이브러리들이 다운로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기본적으로 내장된 tomcat의 core와 websocket 등의 라이브러리들도). Node.js 의 node_modules라고 보면 될 것 같다. 기존에는 tomcat (WAS; 웹서버)에 따로 라이브러리들을 설치해서 추가적으로 관리를 해야했는데, 요즘에는 gradle 이나 maven으로 그럴 필요가 없음. * 표시는 중복제거를 위한 표현 spring-boot-starter 는 스프링 부트와 관련된 라이브러리이고 spring core 까지 땡긴다. sp.. 2022. 6. 29.
[프로젝트 환경설정 - (1)] 프로젝트 생성 첫 번째 섹션의 프로젝트 환경설정 부분이다. 4가지 파트로 나누어져 있다. https://start.spring.io/ 에서 다음과 같이 스프링 웹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현 시점에서 2.7.1 버전, Java 11 을 선택하였다.(사전에 jdk 11 설치) Group 보통 회사의 도메인 명을 적는다고 한다. Artifact 빌드 될 때의 결과물로, 프로젝트명을 적음. Dependencies 추가하고자 하는 라이브러리 선택 main java, resources 파일로 나뉘어진다. html 등의 java가 아닌 모든 파일은 resources 파일에 있음. test 테스트용 파일들, 요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 gitignore git에 올라가서는 안되는 파일 관리. git에는 필요한 소스코드만 올라가야하고,.. 2022. 6. 29.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시작하는 글 김영한 스프링 로드맵 중 유일하게 무료강의이며, 주로 스프링의 모든 기능을 코드로 쳐보면서 전체적으로 훑는 것이 목적인 강의라고 한다. 처음 개발을 시작했을 때도 자바로 시작했는데, 자바 뿐만아니라 다른 언어를 배울때도 이론부터 학습하고 실전 코드로 들어가는 강의들이 많았다. 특히 책은 더 심한편.. 하지만 그렇다고 무작정 코드를 쳐보면서 외우려고 하는 것은 내 성향이 아니다. 수학처럼 인과관계나 동작원리를 이해해야지 속이 풀리는 성격이다보니 시간은 없고 기초는 부족해서 또 학원을 다니고하는 등..딜레마가 많이 왔었다. 특히 '넓은 바다 한가운데 길을 잃고 혼자 덩그러니 떠 있는 돛단배 같은 기분'의 문구는 학원 수료하고 무작정 SI에 취업했을 때의 모습이 떠올랐다. 그래도 여러 시행착오 끝에, 나만의 .. 2022. 6. 29.
Java 카테고리에 관하여 Java의 대부분의 카테고리는 김영한님의 인프런 강의 로드맵을 수강하면서 배우는 점들을 낱낱히 이해하고, 정리하기 위해서이다. 해당 강의 카테고리 외에도 다른 카테고리에 포스팅할 수 있는데, 그때마다 링크를 따로 참조하여 작성할 예정. 강의 외의 카테고리는 별도로 추가될 것이고, 다른 강의나 클린코드, 리팩토링 등의 책을 리뷰하는 방식이 될 듯 하다. - 참고 자료 https://jiwondev.tistory.com/265 주관적인 인프런 강의 리뷰(🌱김영한님 스프링) 돈없는 거지지만 영한님 강의는 선구매 후생각(?)하는 저의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인프런 김영한님 제가 생각하는 김영한님의 강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재밌습니다. 약간 공부잘하는 형 jiwondev.tistory.com https://.. 2022.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