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스프링 입문 -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프로젝트 환경설정 - (2)] 라이브러리 살펴보기

Rezal 2022. 6. 29. 13:48

기본적으로 특정 라이브러리를 설정하거나 다운로드하면, 그와 관련된(의존관계에 있는) 라이브러리를 gradle 에서 함께 다운로드한다라는 점을 기억하자.

 

 

External Libraries 에서 의존관계에 있는 라이브러리들이 다운로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기본적으로 내장된 tomcat의 core와 websocket 등의 라이브러리들도). Node.js 의 node_modules라고 보면 될 것 같다.

 

기존에는 tomcat (WAS; 웹서버)에 따로 라이브러리들을 설치해서 추가적으로 관리를 해야했는데, 요즘에는 gradle 이나 maven으로 그럴 필요가 없음.

* 표시는 중복제거를 위한 표현

 

spring-boot-starter 는 스프링 부트와 관련된 라이브러리이고 spring core 까지 땡긴다.

spring-boot-starter-logging 에서 보통 logback 과 slf4j 를 표준으로 한다.